top of page

ABOUT

1900년대초에 북미에서 적용되어 전세계적으로 1,000,000개소 이상 시공되어 공용중인 파형강판 (CSS: Corrugated Steel Structure)을 우리나라는 100여년이 지난 1996년부터 POSCO, 한국도로공사, 서울대학교, 한양대학교등과 전문업체의 실용화 연구를 통하여 국내시장에 적용되었습니다. 이를 기반으로 2000년대부터 도로 횡단 통로, 수로와 지방 소하천, 동물 이동 생태통로, 피암터널, 군방호시설물 등에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습니다. 시공 중 기존의 차량통행의 통제를 최소화하는 장점과 경제성을 바탕으로 기존의 철근 콘크리트공법의 대체 공법으로 지난 20년동안 국내에 약 5000개소의 파형강판 구조물이 설치 공용중에 있습니다.

그러나, 공법의 여러가지 장점과 급속도로 발생하는 수요에 대하여 초기에는 국가설계기준, 시방서에 상세한 부분의 설명이 부족하였으며, 강성 구조체에 익숙한 철근콘크리트의 역학적 거동으로 인식하여 연성구조물인 파형강판 거동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인 뒷채움 재료 및 뒷채움 다짐도에 대한 이해 부족, 전문 엔지니어링 지원 부족으로 파형강판의 과변형등의 문제가 간헐적으로 발생하였습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청암EnC는 여러 관련기관들과 연구개발을 통하여 관련기준을 지속적으로 개선 보완하였으며, 국내•외 실패사례를 토대로 실제 시공시 발생 가능한 문제들을 해결한 제품과 설계 솔루션 개발과 적용을 통하여 업계 최초로 NET(신기술)과 NEP(신제품)를 동시에 인증 받았습니다. 

청암EnC는 Digital Twin Construction을 위한 BIM flatform에 설계단계에서 도입함으로써 단계별 예상 공정을 정확하게 예상하여 구조물의 완성도를 높였으며, 향후 유지관리 시스템에 적용이 가능하도록 하였습니다. 또한, 3D Laser Scanning (Leica® System)과 경관디자인 솔루션을 제공함으로써 그동안 고객이 느꼈던 설계의 불확실성, 시공의 불안감과 미관 불안정을 해소하는 세계 최고의 파형강판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이 되도록 하겠습니다.

NEPLogo.png
스크린샷 2018-10-31 오전 8.38.36.png
스크린샷 2020-03-30 오후 1.36.21.png
bottom of page